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정치부 이현수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'000 타는 당선인'?<br> <br>전용기 타는 당선인입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 당선인, 내일 제주4.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하는데, 대통령 전용기인 공군 2호기를 타고 이동한다고 합니다. <br> <br>보수진영 대통령 당선인으로는 첫 참석인데,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합니다. <br><br>[윤석열 / 당시 대통령 후보](지난 2월) <br>(3월 9일에 당선이 되면 4·3 추념식에 당선인 신분으로 오실 생각이 있으신지요?) 오겠습니다." <br><br>Q. 공군 2호기면 보통 대통령 순방갈 때 타고가는 코드원과 다른거죠? 어떨때 타는건가요? <br><br>네, 1호기는 민간 항공사에서 장기 임차해서 쓰는데, 통상 해외순방 때 사용하죠. <br> <br>2호기는 1호기보다 기체도 작고 30~40명 가량 탑승이 가능한데, 국내용 등 주로 가까운 거리 이동에 쓰입니다.<br><br>2018년 문 대통령 북한 방문 당시 활주로가 짧은 삼지연 공항으로 이동할 때가 있었는데 그때 2호기를 사용했고요. <br> <br>같은 해 김정숙 여사가 3박 4일 일정으로 인도를 단독방문한 적이 있는데. 2호기를 타고 출국했습니다.<br><br>Q. 당선인도 대통령 전용기를 탈 수 있군요 <br><br>대통령 당선인 측의 요청이 있으면 대통령에 준하는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<br> <br>그런데, 대통령 당선인 신분으로 공군 2호기를 타는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하더라고요. <br><br>지난달 15일에 윤 당선인, 산불 피해현장 찾았을 때 대통령 전용 헬기를 이용했는데요.<br> <br>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간에 큰 틀에서 신뢰관계가 유지되고 있는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옷장과 금괴. 김정숙 여사 옷값을 둘러싸고 논란이 계속되는 와중에 탁현민 의전비서관이 금괴를 언급했어요? <br><br>탁현민 비서관이 SNS에 이번 의혹을 두고 허무한 논쟁이라고 정의하며 5년 전 문재인의 금괴가 다시 떠오른다고 한 겁니다.<br><br>Q. 어렴풋이 생각나는데요. 어떤 사건이었죠? <br><br>2015년 12월, 당시 문재인 대표의 부산 지역구 사무실에 50대 남성이 난입해 인질극을 벌였는데요.<br> <br>이유가 다소 황당합니다. <br> <br>참여정부에서 일제시대 때 일본군이 숨겨둔 금괴를 도굴해 가져갔다고 주장한건데요. <br> <br>이 사건이 지난 2017년 대선을 앞두고 다시 언급됐습니다. <br><br>[문재인 대통령/ 2017년 2월, '대한민국이 묻는다' 북 콘서트]<br>"딱 하나 남아있는 의혹이 있다면 금괴를 1억톤 가지고 있다. 그것이 제 양산집 지하에 묻혀있다.그 돈 우리 젊은 분들 일자리 만들기 위해서 쓸 수 있으면 참 좋겠죠."<br><br>탁 비서관, 금괴 논란을 소환해서 김 여사의 옷값 논란이 터무니없다는 걸 강조한겁니다. <br><br>Q. 국민의힘에서는 십상시 이야기를 꺼냈어요? <br><br>허은아 대변인은 중국 황제 측근으로 권력을 남용하던 환관집단, '십상시'에 빗대면서 비판했고요. <br> <br>옷값 문제에 의혹을 갖는 국민들을 금괴 음모론자로 만들었다고 날을 세웠습니다.<br><br>Q. 옷값 관련한 고발로 경찰수사도 시작됐잖아요. 그런데 김 여사의 옷값 결제 방식을 두고 논란이 번지고 있다고요? <br><br>청와대는 현금결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. <br><br>[박수현 / 대통령 국민소통수석 (어제, MBC 라디오 '김종배의 시선집중')]<br>"명인과 디자이너 같은 이런 분들에 대해서는 예우 차원에서 현금으로 계산을 해야될 필요가 있는 것도 있잖아요. 이것이 왜 현금과 카드가 왜 지급 방식이 문제가 됩니까?"<br><br>그런데, 현금 영수증 발행을 놓고 말이 엇갈리고 있거든요. <br> <br>청와대는 세금계산서 발행을 지시했다고 했지만 누비 장인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발행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.<br><br>Q. 마지막 주제 보겠습니다. 지방선거 이사철? 출마를 선언한 인사들이 최근 이사하느라 바빴다고요?<br> <br>공직선거법상 지방선거 60일 앞둔, 오늘까지는 출마지역으로 주소지를 옮겨야 하거든요. <br><br>송영길 전 대표는 인천을 떠나 서울 송파로 이사했고요. <br> <br>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한 김동연 대표는 수원으로, 유승민 전 의원도 성남 임시거처로 전입한 후 곧 수원으로 이사한다고 합니다. <br> <br>박근혜 전 대통령 최측근으로 꼽히는 유영하 변호사는 일찌감치 대구로 이사했습니다.<br><br>Q. 선거 임박해서 주소를 옮기는것에 대한 비판도 있잖아요. <br><br>연고를 강조하거나, 연고가 없어도 출마한 이유가 있다, 나름의 이유를 밝힙니다. <br><br>[김동연 / 새로운 물결 대표 (그제)]<br>"제 인생의 절반을 광주, 성남, 과천, 안양, 의왕에서 살았습니다. 공직과 대학 총장을 하며 20년 넘게 경기도에서 일했습니다. " <br> <br>[유승민 / 전 국민의힘 의원 (그제)]<br>"(경기도에 연고가 없는데//주소지는 어디로 이전?) 제가 연고가 없다라는 건 저의 결격사항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서울로 주소지를 옮긴 송영길 전 대표는 오늘 SNS글을 써서 백제를 세운 온조를 언급하거나 대학 시절 서울과의 인연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.<br> <br>이런 설명을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유권자들이 따져보고 선택할 문제겠죠. (따져보기)